• 언론기사
  • 보도자료
  • 전체보기


KT 인터넷 공유기 유료허용 방침 네티즌 반발 비등

 
통신공룡기업 KT가 인터넷 종량제에 이어 유료로 프로토콜(IP) 공유허용을 추진하고 있어 파문이 일고 있다.

KT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가 IP 공유기에 추가로 연결하는 단말기마다 대당 월 5000원의 이용료를 부과하는‘추가단말 서비스’를 내놓자 `1가구 다PC’ 시대에 가구당 통신비 부담을 가중시키는 횡포라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일부 네티즌과 시민단체들은 IP 공유를 금지하는 KT의 이용약관이 홈네트 워크 등 차세대 유비쿼터스 사업 전략과 모순되는 방침인 만큼 요금체계의 합리적인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선 월 5000원을 내도 IP가 추가로 발급되는 것이 아니 라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정해진 트래픽 한도 내에서 나눠쓰는 ‘공유’ 형태가 되는 만큼 공유기 사용이 요금 부과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주장도 거세지고 있다.

PC뿐 아니라 TV 등의 가전기기에도 인터넷을 연결하는 ‘홈네트워크 서비스’ 등 차세대 유비쿼터스 사업을 추진하면서 IP 공유를 막는 것은 개인의 자유로운 네트워 크 접속을 제한하는 모순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초고속인터넷 사용자 모임인 ‘비씨파크(www.bcpark.net)’가 지난 6월6 일부터 15일까지 네티즌 17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PC를 1대만 보유하는 경우는 전체의 36.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2대를 보유하는 경우가 36.9%로 가장 많았으며 3대 15.1%, 4대 5.5%, 5대 이상이 5.6%로 각각 집계됐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가정에서 자녀들이 PC를 독차지하고 있어 흔히 부모들은 추가로 구형 PC에 IP 공유기를 연결, 간단한 e-메일 확인 등을 하고 있다”며 “공유기를 쓸 때마다 5000원을 내야 한다면 KT는 막대한 추가 수익을 가져가게 될 것”이라 고 우려하고 있다.

이 경우 집에서 두대의 PC로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가입비나 모뎀 임대료 등의 부대비용을 제외하고 인터넷 이용료만 한달에 기존 3만원 가량에서 3만5000원을 내게 돼 가구당 통신요금 비중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박지환 기자(daebak@heraldm.com - `헤럴드 생생 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05-07-05 16:24:06
21284 번 읽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캐시선물





365ch.com 128bit Valid HTML 4.01 Transitional and Valid CSS!
태그